본문 바로가기

미술심리

미술 치료에 대한 이해2

반응형

4.미술치료의 장점

미술치료를 '왜' 하며 무엇을 제공해야 할 것인가에 대한 많은 논의와 제한점이 있으나 심리치료의 한 방법으로서 독특한 이점도 가지고 있다. 그래서 다음에 Wadeson(1980)이 언급한 내용을 바탕으로 타 기법과 비교한 미술치료의 장점을 요약하여 제시해 본다

 

첫째, 미술은 심상의 표현이다. 우리는 심상(image)으로 생각을 한다고 볼 수 있다. 말이란 형태를 취하기 전에 심상으로 사고한다. 삶의 초기 경험이 중요한 심상의 요소가 되며, 그 심상이 성격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도니다. 미술치료에서는 꿈이나 환상, 경험의 순수한 언어적 치료법에서 처럼 말로 해석하기 보다는 심상으로 그려진다. 예술매체는 종종 심상의 표출을 자극하는 즉, 일차적 과정의 매체를 자극하여 창조적 과정으로 나아가게 한다. 

 

둘째, 비언어적 수단이므로 통제를 적게 받아 내담자의 방어를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우리는 어떤 다른 의사 소통 양식보다 언어화 하는 작업에 숙달되어 있다. 미술은 비언어적 수단이므로 통제를 적게 받는다. 이러한 것은 미술치료의 가장 흥미 있는 잠재성 중의 하나이다. 예상치 않았던 인식은 가끔 환자의 통찰 학습, 성장으로 유도되기도 한다.

 

셋째, 구체적 유형의 자료를 즉시 얻을 수 있다. 즉 눈으로 볼 수 있고 만져볼 수 있는 자료가 내담자로부터 생산되는 것이다. 저항적 내담자의 경우는 직접 다루는 것보다 그들의 그림을 통해 접근하는 것이 더 쉽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내담자의 감정이나 사고 등이 그림이나 조소와 같은 하나의 사물로 구체화되기 때문에 언젠가는 자신도 모르게 자신이 만든 작품을 보고 개인의 실존을 개닫게 된다. 어떤 사람은 단 한 번의 작품에서도 자신의 감정을 느끼기도 하며, 저항이 강한 사람은 더 오랜 시간이 걸리기도 한다.

 

넷째, 자료의 영속성을 들 수 있다. 미술작품은 보관이 가능하기 때문에 내담자가 만든 작품을 필요한 시기에 재 검토하여 치료효과를 높일 수 있다. 또한 내담자의 작품 변화를 통해서 치료의 과정을 한눈으로 이해할 수 있으며, 치료 팀의 회의에서도 작품을 통해 그 환자의 생생한 목소리를 들을 수 있다.

 

다섯째, 미술은 공간성을 지닌다. 언어는 일차원적 의사소통방식으로 언어 규칙상 대체로 한 가지씩 나간다. 언어표현과는 달리 미술표현은 문법, 통사론, 논법 등의 언어규칙을 따를 필요가 없다. 미술의 공간성은 경험을 복제한 것이다. 우리는 나의 가족을 말로 소개하고 그림으로 그것을 동시에 나타낼 수 있다. 가깝고 먼 것이나 결합과 분리, 유사성과 차이점, 감정 특정한 속성, 가족의 생활환경 등을 표현하게 되므로 개인과 집단의 성격을 이해하기 쉽다

 

여섯째, 미술은 창조성과 신체적 에너지를 유발시킨다. 미술작업을 시작하기 전ㅌ에 개인의 신체적 에너지는 다소 떨어져 있지만미술작업을 진행하고 토론하며 감상하고 정리하는 시간을 거치면서 대체로 활기찬 모습을 띤다. 단순히 신체적 운동이라기 보다는 '창조적 에너지' 의 발산이라고 해석된다

 

일곱째, 미술활동은 즐거움과 흥미를 느끼게 한다. 다양한 미술매체와 활동을 통한 미술작업은 내담자에게 '해봐서 좋았다. 즐거웠다. 재미있었다' 라는 기분을 맛보게 한다. 미술작업 그 자체가 즐거움과 흥미를 주어 심리적 긴장이완을 통한 정서적인 안정감을 제공한다.

 

미술치료는 내담자가 자신의 감정을 효현하는 것만으로도 긴장감과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으며 내향적인 사람에게 있어서 더욱 마음을 표출할 수 있어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다.

 

5.미술교육과 미술치료의 관련성

인간의 발달과정에서 유/아동 시기에는 자르고, 풀로 붙이고, 무엇을 만들고, 주무르고, 그리는 등의 미술활동을 통하여 작은 근육운동의 신체발달뿐만 아니라 사고력, 추진력, 문제해결력, 창의력 등이 발달된다. 나아가서 사회성이 발달됨은 물론 자동의 미술활동의 중요성을 고찰하여 미술교육에 역점을 두고 있다. 로웬펠드(Viktor Lowenfeld)는 아동이 '자기정체성'을 형성하기 위해 자기만의 표현을 하는 것의 가치를 알고 초기 시각장애아동 등을 치료하면서 신체장애로 인한 인식적 감정적 영향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의 저서인 [창의력과 정신의 발달(Creative & Mental Growht)](1947)은 지난 50여 년 동안 미술교육에 지대한 영향력을 미쳤으며, 그는 교사가 상담을 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분명하게 밝히면서 미술교육과 미술치료를 구분하였다. 또한 김정(1988)은 아동미술의 가치는 자기표현의 수단으로써 미술할동을 통한 치료적 가치로서 자신들의 지적 표현의 근본이며 그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다음으로-

반응형

'미술심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술치료의 이론적 모델3  (0) 2022.02.04
미술치료의 이론적 모델2  (0) 2022.02.04
미술치료의 이론적 모델1  (0) 2022.02.04
미술치료에 대한 이해3  (0) 2022.02.04
미술치료에 대한 이해1  (0) 2022.02.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