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채색은 모든 것의 시작이며 끝이다. 무채색은 탄생과 죽음의 상징 색으로 사용된다. 무체색은 가장 숭고하고 경건한 색이다. 화려하고 장엄해 보이기도 하지만 가장 볼품없고 드러나지 않는 색이기도 하다. 무채색의 사용은 다른 유채색의 사용보다 더욱 신중하게 그 효과를 고려하지 않으면 자칫 역화가를 나타낼수 있다.
흰색은 순수, 청결, 천진, 청초함의 상징으로 타협하지 않고 침범할 수없는 기품이 있다. 반면 어떤 색과의 배색에도 수용적이며 불안정한 성격이 있다. 재질이나 배색, 입는 사람의 개성에 따라 고귀하게 보이기도 하고 천박해 보일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백색은 처녀와 같은 매력이 있고 항복의 상징이기도 하다.
가. 구상성
구름, 토끼, 흰옷, 안개, 창문, 간호원, 눈, 이, 손수건, 화장직, 국화, 와이셔츠, 백지, 설탕, 웨딩드레스, 신부ㅡ 소프트 아이스크림, 백합, 목련화, 병원, 의사, 얼음, 안개꽃
나. 추상성
빛, 성스러움, 순수, 청결, 허무, 평화, 냉기, 무, 단순함, 미래, 정숙, 가능성, 공간, 결백, 순결, 자유, 완전함, 신성, 공포, 신앙, 신선함, 소박함, 신성, 정직, 숭고함, 희망, 명쾌, 신비
-민족의 색으로 상징되며 적극적이고 화려하고 경쾌한 감을 주며, 밝고 고상하며, 어떤 유채색과 대비되어도 항상 자극적이며 산뜻한 효과를 가져온다.
흰색을 좋아하는 사람은 정신적인 것을 포함하여 잃고 싶지 않다는 소망, 완전함을 목표로 하여 이상을 추구한다. 반면, 자신감이 부족한 성격으로 자아감이 약한 편이다. 종종 수동의 상태에 놓이며 주위를 의식하는 경향이 있다. 원숙함보다는 항상 완벽함을 추구하며 기품 있는 이상을 가지려고 노력한다.
신경과민의 사람과 격한 성격의 사람에게 흰색이 투쟁심을 억제시켜준다.
-유아와 흰색
유아는 노란색을 가장 좋아하며 흰색, 핑크 빨강, 주황의 순서로 좋아한다. 파스텔 색을 좋아하는데 이유는 명도가 높기 때문이다. 항상 옆에 있어야 하는 엄마는 노랑, 흰색, 핑크, 빨강, 주황 등 밝은 난색 계통의 옷을 입고 있는 것이 좋다
-아동들의 흰색표현
유아기를 벗어난 어린이가 주로 사용한다.
자기의 모습을 남에게 보이고 싶을 때 흰색을 좋아한다.
두려움과 무기력도 이 색으로 표출된다.
거짓말을 잘하는 어린이는 다른색 위에 흰색을 덮어 칠하는 경우도 있다. 순수, 청결, 순겨르 신성, 정직을 의미한다.
우리 민족은 오래 전부터 백색을 선호해 왔고 그렇기 때문에 생활의 많은 부분에 있어서 흰색은 매우 비번하게 사용되어 왔다. 우리 민족에게 흰색은 매우 긍정적인 색으로서 고귀하고 신성한 색이며 순수하고 순결한 색이다. 이러한 흰색에 대한 많은 긍정적인 상징성은 백색지향의 색채의식을 낳았고 이를 통해 우리 민족은 흰색과 함께 살아오고 있게 된것이다
삼국사기를 보면 태종 무열왕 때 우수주라는 곳에서 흰 사슴을 왕에게 바쳤다는 기록이 나온다. 그리고 성덕왕이 청주에서 흰 매와 흰 참새를 바였다는 기록과 경덕왕이 무진주에서 흰 꿩을 바쳤다는 기록도 있다. 이를 통하여 흰색이 신성하고 고귀한 것들을 상징함을 알 수 있다. 흰색은 신성한 색이고 순결과 정화를 상징하는 색인 것이다. 담백하고 순수한 것들을 지향했던 조선 시대의 선비 정신은 곧 흰색에 대한 선호로 이어졌다. 이; 당시의 사람들은 색이 있는 것을 부도덕하고 점잖지 못한 것이라고 여겼었다. 색이 있는 것은 육신의 욕망과 천함을 나타낸다고 생각하였던 것이다. 이는 '붉으락 푸르락'이라는 어휘를 통해서도 살펴 볼 수 있다. 감정을 나타낸다는 것을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던 당시의 사람들은 붉은색과 푸른색이라는 뚜렷한 색을 통해 이를 표현하고 있는 것이다. 이처럼 색이 있다는 것은 그 당시에 매우 부정적으로 인식되었다.
반면 흰색은 본능을 억제하고 감각과 감정을 절제하는 색으로 인식되었다. 유교적 사고방식에 의하여 감정과 본능을 억제하고 순수, 순결, 소박, 담백한 것들을 추구하는 것이 울륭한 가치로 여겨졌기 때문에 이러한 의미르 상징하는 흰색은 매우 긍정적인 색으로 선호되었던 것이다. 이에 따라 우리 민족은 흰 옷을 즐겨 입게 되었고 백자 등의 흰색 공예품들을 선호하게 되었다.
흔히 우리 민조을 일컬어 '백의 민족'이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그만큼 우리 민족은 흰 옷을 즐겨 입었다. 즉 백색 지향의 색채 의식이 의복에도 드대로 적용되고 있는 것이다. 앞서 살펴 본 유교적 사고 방식으로 인하여 우리 민족은 흰색을 줄겨 입게 되었을 것이다. 또한 자연과의 조화를 중요시 했던 점도 흰 옷을 즐겨 입게 된 이유로 작용하였을 것이다. 흰색은 어떤 색과도 가장 잘 조화가 이루어지는 색이다. 즉 다시 말해서 자연과 매우 잘 어울리는 색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우리 민족은 흰 옷을 즐겨 입게 되었을 것이다. 그 밖에 근검 절약의 생활 방식 또한 흰 옷에 대한 선호에 영향을 주었을 것이다.
상복의 의미
흰색의 상징적인 의미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거의 대부분은 밝고 깨끗함을 나타내는 긍정적인 것들이다. 서양에서는 흰색의 이러한 순수하고 깨긋함을 의미하는 상징성들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이는 웨딩 드레스 라는 것을 통해 단적으로 드러난다.
하지만 동아시아 문화권에서 흰색은 긍정적인 의미도 있지만 슬픔과 죽음을 상징하기도 하는 색이다. 한국, 일본, 중국 등 동아시아 문화권에는 환생에 대한 믿음이 널리 퍼져 있다. 그렇기 때문에 죽은 사람에게 입히는 수의에 환생 상징하는 흰색을 사용하고 장례식에서도 흰색의 옷을 입는다. 이처럼 죽음과 그에 따른 의식에 흰색이 관련되기 때문에 흰색은 죽음과 슬픔을 상징하는 색이 되었다.
미술심리_색채심리_검정 (0) | 2022.02.11 |
---|---|
미술심리_색채심리_회색 (0) | 2022.02.11 |
미술심리_색채심리_갈색 (0) | 2022.02.09 |
미술심리_색채심리_보라 (0) | 2022.02.08 |
미술심리_색채심리_분홍 (0) | 2022.02.07 |